본문 바로가기
경제&사회

📚 어린이집 보육료 vs 유치원 교육료 차이 & 무상교육 정책 (2023년생 아들 기준 총정리)

by 쏘대LIFE 2025. 8. 19.
반응형

 

안녕하세요 🙂
아이 키우다 보면 가장 헷갈리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보육료와 교육료의 차이예요. 이름은 비슷한데 적용되는 대상과 지원 주체가 달라서 헷갈리실 수 있죠.

오늘은 보육료 vs 교육료 차이점과 함께, 우리 아들(2023년 9월생 기준) 앞으로 언제부터 어떤 무상 혜택을 받게 되는지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드릴게요.


👶 보육료란?

  • 대상: 어린이집에 다니는 0~5세 아이
  • 성격: 돌봄 + 교육 서비스 비용
  • 담당 부처: 보건복지부
  • 지원 현황: 현재도 전액 무상 지원(보육료 기준)
  • 부모 부담: 간식비·차량비·특별활동비 등 기타 필요경비는 별도 부담

🎒 교육료란?

  • 대상: 유치원에 다니는 만 3~5세 아이
  • 성격: 정규 교육과정 수업료
  • 담당 부처: 교육부
  • 지원 현황: 월 22만 원 지원(누리과정 기준)
  • 추가 변화: 2025년 7월부터 사립 유치원 차액까지 전액 무상화
    → 사실상 완전 무상교육

🆚 한눈에 비교

      구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교육료 (유치원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보육료 (어린이집)
기관 유치원 (만 3~5세) 어린이집 (0~5세)
담당 교육부 보건복지부
성격 수업료(교육비) 보육·돌봄 비용
기존 지원 누리과정 월 22만 원 지원 보육료 전액 지원 (기타경비 제외)
무상 확대 사립 유치원 차액까지 무상 2025~2027년 단계적 → 기타경비 무상화

🚀 우리 아들 (2023.09.11생) 기준 무상 지원 일정

    연도       나이(만)                상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부모 부담
2025년 2세 어린이집 보육료 전액 무상 보육료 0원, 단 기타 경비 일부 있음
2026년 3세 여전히 보육료 무상 (무상교육은 만 4세부터) 보육료 0원, 기타 경비 일부 있음
2027년 4세 무상교육·무상보육 전면 적용 시작 유치원/어린이집 모두 완전 무상
2028년 5세 전국 만 5세 무상교육/보육 완전 무상
2029년 6세 초등학교 입학 (의무교육 시작) 완전 무상

✅ 정리

👉 아들 기준으로 보면 초등학교 갈 때까지 사실상 돈 안 드는 구조입니다.

  • 만 0~2세: 어린이집 보육료 무상 (간식비·차량비 등 일부 자부담)
  • 만 3세(2026년): 여전히 보육료 무상
  • 만 4세(2027년): 무상교육·무상보육 전면 적용 → 진짜 0원
  • 만 6세(2029년): 초등학교 입학 → 의무교육 무상

즉, 큰 틀에서는
“초등학교 입학 전까지는 쭉 무상”
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😊


📌 부모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건 매달 나가는 비용인데, 이렇게 정리해보니 마음이 한결 가벼워지네요.
혹시 같은 시기에 아이 키우고 계신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!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