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안녕하세요 🙂
아이 키우다 보면 가장 헷갈리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보육료와 교육료의 차이예요. 이름은 비슷한데 적용되는 대상과 지원 주체가 달라서 헷갈리실 수 있죠.
오늘은 보육료 vs 교육료 차이점과 함께, 우리 아들(2023년 9월생 기준) 앞으로 언제부터 어떤 무상 혜택을 받게 되는지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드릴게요.
👶 보육료란?
- 대상: 어린이집에 다니는 0~5세 아이
- 성격: 돌봄 + 교육 서비스 비용
- 담당 부처: 보건복지부
- 지원 현황: 현재도 전액 무상 지원(보육료 기준)
- 부모 부담: 간식비·차량비·특별활동비 등 기타 필요경비는 별도 부담
🎒 교육료란?
- 대상: 유치원에 다니는 만 3~5세 아이
- 성격: 정규 교육과정 수업료
- 담당 부처: 교육부
- 지원 현황: 월 22만 원 지원(누리과정 기준)
- 추가 변화: 2025년 7월부터 사립 유치원 차액까지 전액 무상화
→ 사실상 완전 무상교육
🆚 한눈에 비교
구분 교육료 (유치원) 보육료 (어린이집)
기관 | 유치원 (만 3~5세) | 어린이집 (0~5세) |
담당 | 교육부 | 보건복지부 |
성격 | 수업료(교육비) | 보육·돌봄 비용 |
기존 지원 | 누리과정 월 22만 원 지원 | 보육료 전액 지원 (기타경비 제외) |
무상 확대 | 사립 유치원 차액까지 무상 | 2025~2027년 단계적 → 기타경비 무상화 |
🚀 우리 아들 (2023.09.11생) 기준 무상 지원 일정
연도 나이(만) 상황 부모 부담
2025년 | 2세 | 어린이집 보육료 전액 무상 | 보육료 0원, 단 기타 경비 일부 있음 |
2026년 | 3세 | 여전히 보육료 무상 (무상교육은 만 4세부터) | 보육료 0원, 기타 경비 일부 있음 |
2027년 | 4세 | 무상교육·무상보육 전면 적용 시작 | 유치원/어린이집 모두 완전 무상 |
2028년 | 5세 | 전국 만 5세 무상교육/보육 | 완전 무상 |
2029년 | 6세 | 초등학교 입학 (의무교육 시작) | 완전 무상 |
✅ 정리
👉 아들 기준으로 보면 초등학교 갈 때까지 사실상 돈 안 드는 구조입니다.
- 만 0~2세: 어린이집 보육료 무상 (간식비·차량비 등 일부 자부담)
- 만 3세(2026년): 여전히 보육료 무상
- 만 4세(2027년): 무상교육·무상보육 전면 적용 → 진짜 0원
- 만 6세(2029년): 초등학교 입학 → 의무교육 무상
즉, 큰 틀에서는
“초등학교 입학 전까지는 쭉 무상”
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😊
📌 부모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건 매달 나가는 비용인데, 이렇게 정리해보니 마음이 한결 가벼워지네요.
혹시 같은 시기에 아이 키우고 계신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!
반응형
'경제&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💰 전국민 민생회복지원금 – 최대 65만 원 받는 방법 정리! 최신판!!!! (6) | 2025.07.08 |
---|---|
🎉 신한은행 1982 전설의 적금 – 최대 연 7.7% 적금, 꿀혜택 총정리! (4) | 2025.07.03 |
💡 2025년 하반기: 소상공인을 위한 50만 원 부담경감 크레딧 완벽 가이드 (4) | 2025.07.03 |
💰 [정책 정리] 전국민 민생회복지원금 – 대상·금액·신청 방법 총정리 (+뉴스 링크 포함) (23) | 2025.06.17 |
💸 2025년 종합소득세 환급일은 언제? 환급 일정부터 조회 방법까지 총정리! (7) | 2025.05.29 |